스마트농업 성큼…새 인재 농업유입 혁신 불지핀다 [농업·농촌 리포트]
[농업·농촌 리포트] (1) 기술집약·전문경영 시대로
노동집약 성격바꿀 기술 각축
스마트팜·자율주행 농기계 등
보급 통해 미래성장산업 모색
고령농 대안 공동영농도 주목
IT 기술통 농업스타트업 참여
농업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해법으로 전세계가 스마트농업 활성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첨단 기술이 농업에 적용되며 기계화가 가속화되는 한편 기술력을 갖춘 새로운 인재가 농업계에 유입되는 등 신선한 바람도 불고 있다. 영농을 전문경영인에게 맡기는 방안도 인력구조 대응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노동 집약 영농에서 무인 영농 시대로=전통적으로 농업은 노동 집약 산업으로 분류된다. 최근엔 이같은 말이 무색할 만큼 농작업을 기계화하고 사람 손이 필요한 일을 기술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농업부문에 점차 적용되고 있다.
2023년 미국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선 상징적인 장면이 펼쳐졌다. 기조연설을 미국 농기계 기업 존디어의 최고경영자(CEO)가 맡은 것이다. 최첨단 기술을 선보이는 현장에 다른 산업분야를 제쳐놓고 농업 관계자가 전면에 나서 반향을 일으켰다. 존디어는 완전 자율주행 트랙터를 선보였다. 24시간 쉼 없이 일하는 이 트랙터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평가를 받았다.
스마트농업 관련 시장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농업 매출은 최근 5년(2020∼2024년)간 연평균 19%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성장했다. 2024년 매출 규모는 180억달러(24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속도 내는 국내 스마트농업=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농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만들려면 첨단 기술을 적용해 혁신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올초 내놓은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그간의 정책 성과부터 올해의 업무 추진과제까지 첫번째 항목은 모두 ‘스마트농업’이 장식하고 있을 정도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스마트팜 보급률은 전체 시설원예 재배면적의 14% 수준이다. 대부분은 단순 원격제어 기능을 갖춘 하드웨어 중심의 1세대 스마트팜이다. 이를 소프트웨어 중심의 2세대(빅데이터·AI 기반의 정밀 생육관리) 모델로 고도화하고, 스마트팜 비중도 2027년까지 3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농기계업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개발도 활발하다. 2021년 LS엠트론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자율주행 트랙터를 상용화해 판매하고 있다. 대동은 지난해 이앙기·트랙터·콤바인 등 주요 농기계에 모두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대동은 올 5월 AI 로봇 전문회사인 ‘대동에이아이랩’을 설립해 계열사로 추가하고, 자율주행과 로봇 AI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냈다.
◆전문화와 공동영농으로 해법 찾아=농업이 첨단 산업으로 변모하면서 새로운 인재자원이 농업부문에 유입되는 사례도 늘었다. 최신 정보기술(IT)에 능통한 이른바 ‘기술통’으로 분류되는 인재들로, 미국 스마트팜 스타트업(새싹기업)인 바워리파밍의 이인종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대표적이다. 그는 삼성전자와 구글에서 각각 부사장을 지내는 등 기술분야에서 화려한 경력을 쌓은 뒤 스마트팜 스타트업으로 자리를 옮겼다. 트릿지·그린랩스·푸드팡 등 국내 스타트업도 공과대학 출신들이 농업부문으로 뛰어든 사례가 많다.
아울러 고령농·영세농이 많은 농업인구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공동영농도 주목받고 있다. 영농 주체를 농민 개개인에서 전문경영인으로 바꾸는 것으로, 경북도에서 추진하는 공동영농사업이 대표 사례다. 고령농이 소유한 농지를 임대차 방식으로 집단화해 공동영농으로 토지를 규모화하고, 경영권은 농업법인에 일임하는 게 뼈대다. 정부가 시행하는 ‘들녘경영체 육성사업’도 있다. 50㏊ 이상의 집단화한 농지에 대해 공동영농 조직을 꾸려 경영체가 농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사업이다.
함규원 기자
관련기사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