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북특별자치도의 평야
호남평야전북특별자치도 서반부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최대 평야
동쪽과 남쪽은 노령산맥(蘆嶺山脈), 북쪽은 금강(錦江),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동서의 폭이 약 50㎞, 남북의 길이가 약 80㎞에 이른다. 행정구역으로는 전주·익산·군산·정읍·김제 등 5개 시와 부안·완주·고창 등 3개 군이 포함된다. 흔히 동진강(東津江) 유역에 펼쳐진 평야를 김제평야, 만경강(萬頃江) 유역에 펼쳐진 평야를 만경평야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총면적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호남평야는 경관상으로 매우 평탄하고 단조로우나 지형의 구성은 복잡하다. 즉, 평야는 침식·하성(河成)·해성(海成) 등 복합적 요인으로 형성되었다. 호남평야의 지질은 대부분이 침식에 약한 쥐라기의 대보화강암(大寶花崗岩)과 편상화강암(片狀花崗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오랫동안 침식을 받아 해수면 높이의 파랑상(波浪狀) 지형을 이루며, 제4기의 충적지(沖積地)는 부용천(芙蓉川)·동진강·만경강 연변에 넓게 분포한다. 한편 군산시 일대에는 간석지(干潟地)를 간척한 평야가 광대하게 전개된다. 만경강 유역과 동진강 하류의 충적평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해발고도 30m 내외의 전형적인 준평원(準平原)을 이룬다. 호남평야는 노년기 말기의 지형에 가깝고, 중국의 요동반도에서 서해안 주변으로 연속하여 발달한 광대한 준평원의 일부로 볼 수 있다. 호남평야에 낮은 구릉이 넓게 산재하고 있는 것은 화강암 산지가 해수면 수준까지 침식된 후, 기반암인 화강암이 퇴적층 사이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김제평야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를 중심으로 정읍시·부안군·완주군 일부 지역을 포함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
동진강(東津江)과 만경강(萬頃江) 유역에 발달된 충적평야와 그 주변의 넓은 야산지대를 중심으로 한 침식평야로 구성되어있다. 이른바 ‘김만경평야(金萬頃平野)’ 혹은 ‘김제만경평야’로 불리며, 한국 최대의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이 평야의 대부분은 본래 하천들의 자연제방과 배후습지 등이 발달해 있던 범람원 지역이다. 이 범람원의 퇴적층은 만경강 하구로부터 약 50㎞ 상류에 위치한 삼례읍까지에 걸쳐 기반암 위에 실트·점토층·사력층·실트·점토층·사층(砂層)의 순서로 퇴적층이 쌓여서 형성되어 있다. 충적지는 만경강과 동진강 및 소하천 주변에 발달한 하곡평야와 진봉반도를 중심으로 간척된 해안평야를 가리킨다. 해발고도가 5∼6m로 낮고 평평하며 우리나라 벼농사지대의 핵심이다.충적지와 연결된 구릉지는 부용천, 신평천, 두월천, 원평천 등 소하천의 분수계를 중심으로 넓게 발달되어 있다. 해발고도가 20m 내외로 사면의 경사가 매우 완만하다. 기반암은 대보화강암이고 차별침식에 의해 낮아진 것으로 여겨지고, 화강암지역의 구릉지 토양은 '황토'로 불리는 적색토의 발달이 탁월하며 농경지로 개간하기에 쉽다.
만경평야만경평야는 만경강 유역인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군산시·익산시·완주군에 걸쳐 펼쳐진 평야이다. 만경평야와 동진강 유역의 김제평야를 합쳐 호남평야라고 부르기도 한다. 만경평야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동상면 원등산에서 발원한 만경강이 호남고속도로 동쪽에 위치한 봉동읍에 이르러 넓은 골짜기로 나오면서 발달하였다. 만경강은 나팔 모양의 하구(河口)를 통하여 바다로 흘러들어 가며, 하구 일대에 넓은 간석지(干潟地)를 형성하였다. 만경평야는 간척에 의하여 바다 쪽으로 계속 확대되어 왔는데, 평야의 해발고도는 대개 5m 내외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강
동진강정읍시 산외면 평사리에서 부안군 동진면 하구까지 총 길이 44.7km, 유역면적 1034.1km로 김제평야를 지나 서해로 흘러드는 강.
만경강과 비슷하게 곡류 하천이며 만조 때에 바닷물이 역류하는 감조하천이다. 동진강 하구 는 넓은 만을 끼고 간석지가 발달해 있었는데 1970년대에 연안간척지, 광활간척지, 계화간척지 등이 조성됐다.
만경강완주군 동상면에서 발원하여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 군 등지에서 고산천, 소양천, 전주천, 익산천, 탑천의 지천을 거느린 유역면적 1418.2㎢의 전북에서 가장 큰 강이다. 총 길이는 81.75km이며 호남평야의 중심부를 지나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 전 형적인 곡류하천이며 하구에서 49km 떨어진 삼례 부근까지 하천수 위가 변화하는 감조하천이다.
섬진강진안군 백운면과 장수군 장수읍의 경계인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전라도의 동쪽 지리산 기슭을 지나 남해의 광양만으로 흐르는 유역면적 4,914,32㎢, 총길이 22.05km의 남한에서 네 번째로 큰 강이다. 섬진강 상류 지역은 지형성 강우와 강설로 강수량이 풍부하며 지질은 영남 변성암 복합체로 진안고원을 형성하고 있다. 진안고원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진안군·장수군에 걸쳐 있는데 이 세 곳은 흔히 ‘무진장’으로 알려져 있다.
- 관리부서자원경영과
- 담당자양진호
- 연락처063-290-6122